TV속 도봉

도봉구 창동 독립운동 재조명

날짜2012.08.17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제     목 : 도봉구 창동

              독립운동 재조명

방송일자 : 2012. 8. 16.

방 송 사 : 티브로드

방송시간 : 2분 23초

 

[앵커멘트]

최근 서울시가 보전해야 할 근현대 역사유적 발굴 사업을 시작하면서 도봉구 창동의 역사가 재평가 받고 있습니다. 서울 근교 독립운동의 전초 기지 역할을 했던 창동의 어제와 오늘을 이재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해 도봉구가 구상한 현대사 인물길입니다.

도봉구 창동이 간직한 현대사 유산을 따라 그려진 이 길엔 우리나라의 독립과 민주화를 위해 싸운 8명의 역사가 남아 있습니다.

창동이 지닌 역사의 중심엔 창동역이 있습니다. 지난 해 개통 100주년을 맞은 창동역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을 창동으로 모은 원동력입니다.

당시 경기도 양주시 노해면에 속했던 창동은 4대문 안으로 연결되는 창동역이 있어, 일제의 감시를 피해가며 독립운동을 할 수 있는 최적지였습니다.

 

Int) 홍기원 / 도봉문화원 사무국장 "1910년 한일병탄이 일어나고서 이듬해 10월 15일 창동역을 개통했습니다. 독립운동을 하던 분들은 일본 관원의 눈초리를 피하면서 서울과 접근성이 좋고 집값도 싼 곳을 찾았을 텐데, 창동역 개통에 때맞춰 이쪽으로 이주하신 겁니다."

 

[리포트]

창4동과 창5동을 잇는 가인지하차돕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대법원장인 김병로 선생이 살던 집 근처라 선생의 호인 가인을 따 이름 붙였습니다. 창동엔 지난 1934년 김병로 선생을 시작으로, 3.1절과 광복절, 개천절 노래의 작사가인 위당 정인보 선생, 언론인으로서 독립 운동을 이끈 고하 송진우 선생이 자리를 잡았고, 이들은 창동에서 독립 운동을 펼치며 창동의 세 마리 사자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Int) 김종인 / 김병로 선생의 손자, 전 국회의원 "1940년 창동에서 태어난 김종인 박사가 기억하는 창동의 모습."

 

Int) 정양완 / 정인보 선생의 딸 "아버지 정인보 선생이 가인 김병로, 벽초 홍명희 선생 등과 창동에서 함께 지냈던 기억."

 

[리포트]

194가구가 살고 있는 창동의 아파트 단지. 창동의 세 마리 사자 중 한 명인 고하 송진우 선생이 살았던 곳입니다. 송진우 선생의 사택은 지난 2009년, 아파트 재개발과 함께 사라졌습니다.

 

Int) 김기준 / 도봉구 창동 거주 "너무 안타까운 게 고하 송진우 선생의 옛집이 2009년까지는 건재했는데, 아파트를 재개발하면서 헐렸습니다. 창동, 도봉구를 넘어서 대한민국의 훌륭한 위인이신데, 이런 건 미리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호를 했어야 했는데, 안타깝습니다."

 

[리포트]

다른 독립운동가들이 살았던 집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가인 김병로 선생의 옛집 터엔 현재 교회가 서 있고, 위당 정인보 선생이 살았던 자리엔 4층짜리 건물이 들어서 있습니다. 이곳에서 창동 세 마리 사자의 독립혼을 느낄 수 있는 건 담벼락에 붙은 작은 표지판을 통해서 뿐입니다. 도봉구 현대사 인물길에 제대로 남아 있는 생가는 함석헌 선생의 집이 유일합니다. 도봉구는 지난해부터 선생의 후손들과 선생의 집을 함석헌 기념관으로 만들기 위해 협의 중입니다.

 

Int) 이동진 / 도봉구청장 "함석헌 기념관 건립 진행 상황"

도봉구 현대사 인물길은 최근 서울시가 추진 중인 '서울 속 미래유산 찾기'에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서울시는 문화재는 아니지만 보존 가치가 있는 근, 현대 문화유산을 발굴해, 더 이상 사라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창동의 경우도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작은 기념관을 지어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이 검토 중에 있습니다.

 

녹취) 정영준 / 서울시 문화정책팀장

"집터가 여러 개 있다면 터를 루트화 시켜가지고, 활용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 같은데요. 근처 집터에 계셨던 분들에 대한 소개라던가 이런 것들을 모아 놓은 간단한 기념관을 만들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리포트]

아팠던 우리의 현대사와 함께해 온 도봉구 창동. 해방 후 선열들의 흔적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그들의 정신이라도 잇자는 시도가 광복 67년이 지나서야 시작됐습니다.

티브로드 뉴스 이재호입니다.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페이지로마지막 페이지로
TOP

공유